진에어 중심 ‘통합 LCC’ 나온다…‘지역 항공사’ 에어부산 운명은?

진에어, 에어부산·에어서울 흡수해 ‘통합 LCC’ 출범 예정
부산시, ‘균형발전’ 내세워 통합 LCC 본사 부산 유치 추진
부산 시민단체 “거점 항공사 없으면 가덕신공항 성공 못해”

에어부산 A321LR 항공기.<사진제공=에어부산>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의 최종 승인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이들 자회사인 저비용항공사(LCC)의 통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한항공 계열사인 진에어가 아시아나항공 계열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흡수해 몸집을 불리게 될 전망이다. 다만 부산 지역사회에서는 김해공항 거점 항공사로서 향토기업 성격이 강한 에어부산의 공백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의 ‘통합 LCC’ 출범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과 계획은 향후 이들 LCC 3사가 상호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이 내년부터 2년간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운영하는 동안 통합 LCC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업계는 진에어가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흡수해 인천국제공항을 허브로 삼아 통합 LCC를 이끌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대한항공은 에어부산을 포기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에어부산을 빼고 진에어와 에어서울만 통합한다면 현재 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을 앞지르지 못해 합병에 따른 파급 효과가 무의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그리는 통합 LCC 출범에 있어 변수는 에어부산이 부산 지역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역할로 볼 수 있다. 사명에서 알 수 있듯이 에어부산이 부산 지역에서 가진 상징성은 상당하다.

앞서 부산광역시와 12개 지역기업은 2007년 지역 거점 항공사를 만들자는 목표로 출자해 에어부산의 전신인 부산국제항공을 출범시켰다. 이듬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사업을 확장하던 아시아나항공이 당시 제주항공과 한성항공이 양분하고 있던 국내 LCC 시장에 관심을 보이면서 부산국제항공에 대주주로 참여했고, 곧바로 국내 최초의 지역 항공사인 에어부산이 탄생하게 됐다.

에어부산 창립 초기만 하더라도 부산시와 지역 상공계의 지분을 합치면 아시아나항공 지분을 넘어섰다. 하지만 2008년 에어부산 출범 당시 48.98%에 육박했던 지역기업 지분은 에어부산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이후 급격히 줄었다. 현재는 부산시와 지역 상공계 지분을 모두 합쳐도 16% 수준이다. 반면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에 대한 41.8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부산 지역 시민단체와 상공계, 정치권 등이 에어부산의 존치를 위해 꾸준히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줄어든 지분만큼 목소리가 지역사회 밖으로 전달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두성국 에어부산 대표이사가 지난 10월 30일 김해국공항에서 열린 부산~발리 노선 신규 취항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제공=에어부산>

이런 가운데 지역기업과 거점 항공사를 동시에 잃을 처지에 놓인 부산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청년 이탈 가속화로 활력을 잃고 있는 부산시에는 지난해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이 31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데, 에어부산은 그중 하나다. 직원 수만 1400명에 달하는 에어부산은 영남권 고용 창출에도 큰 역할을 해왔다.

부산시는 특히 2029년 말 가덕도신공항 개항을 앞두고 거점 항공사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공항을 개항할 때는 지역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노선을 공급해 줄 거점 항공사가 필수적이다.

부산시는 그동안 요구해 온 에어부산 분리매각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내부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균형발전을 내세워 통합 LCC의 본사를 부산에 유치하기 위해 정부와 대한항공을 본격적으로 설득할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제사회 승인이 나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졌기 때문에 정부나 대한항공과 본격적으로 대화할 계획”이라며 “부산시는 가덕신공항이 개항하기 전에 어떤 형태로든 거점 항공사가 존치할 수 있도록 계속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 시민단체들은 여전히 에어부산 분리매각을 주장하고 있다.

부산 시민단체인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시민공감’은 EU 집행위원회(EC)의 최종 승인 결정이 발표되자 “부산 시민은 부산 항공사 에어부산을 절대 인천공항에 내어줄 수 없다”며 “지역의 오랜 숙원인 가덕신공항은 거점 항공사가 없어 성공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고 밝혔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병훈 기자 / andrew4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