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구글과 손잡고 XR ‘출사표’…“메타·애플, 게 섯거라”

삼성·구글·퀄컴 공동 개발한 신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 공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 적용한 ‘프로젝트 무한’ 헤드셋 내년 출시
XR 시장에 도전장 낸 삼성-구글 연합…메타·애플과 경쟁 본격화

프로젝트 무한 이미지. <사진=삼성전자>

삼성이 구글과 함께 확장현실(XR) 시장에 뛰어든다. 삼성-구글 연합이 XR 시장에 뛰어들면서 메타, 애플과 같이 3파전을 구축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12일(현지시간) 구글, 퀄컴과 미국 뉴욕 구글 캠퍼스에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열린 ‘XR 언락(XR Unlocked)’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안드로이드 XR’ 플랫폼과 최초의 XR 기기 ‘프로젝트 무한’을 함께 소개했다.

XR은 사용자가 시각, 청각, 움직임 등 다양한 감각을 활용해 주변 현실과 가상 세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물리적 제한을 넘어 업무, 학습, 엔터테인먼트, 게이밍, 건강관리 등 일상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안드로이드 XR을 구글, 퀄컴 등과 공동으로 개발했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멀티모달(Multi-modal) AI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외부·가상 현실과 다양한 감각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구글 제미나이(Gemini)를 통해 자연스러운 대화 방식으로 새로운 정보를 탐색할 수 있고, 사용 상황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맞춤형 응답을 제공하는 AI 에이전트(Agent)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삼성전자는 안드로이드 XR을 탑재할 최초의 기기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을 선보인다. 코드명 프로젝트 무한은 안드로이드 XR이 적용될 최초의 헤드셋으로, 2025년 출시될 예정이다. 무한이라는 이름 그대로 물리적 한계를 초월한 공간에서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최원준 삼성전자 MX 사업부 개발실장 부사장은 이날 행사에 연사로 나서 “XR은 주변 현실과 가상 세계를 넘나들며 물리적 제약없이 기술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새로운 차원을 열어줄 것이다”며 “최첨단 XR 기술과 사용 맥락을 이해하는 멀티모달 AI의 결합으로 새로운 폼팩터 혁신을 위한 완벽한 조건이 갖춰졌다”고 말했다.

비전 프로. <사진=애플>

삼성-구글 연합이 XR 시장에 가세하면서 메타, 애플과 경쟁하게 됐다.

현재 XR 시장은 메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한 ‘메타 퀘스트3’는 499달러(약 69만원)에 출시됐다. 특히 지난 4분기 200만대 이상의 출하량을 거두기도 했다.

애플은 지난 2월 미국 시장에 ‘비전 프로’를 공개했지만, 초라한 성적을 거뒀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비전 프로는 분기당 10만대도 못 판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애플은 수백만원에 달하는 비전 프로의 가격을 낮춰 보급형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는 XR 플랫폼을 앞세울 전망이다. 김기환 삼성전자 이머시브 솔루션(Immersive Solution) 개발팀 부사장은 “무한한 시각적 콘텐츠를 통한 몰입감 넘치는 보는 경험, 시청각 및 움직임을 활용한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과 함께 기존 안드로이드, 오픈(Open) XR,VR, 모바일 AR 커뮤니티와 개방형 협업을 추구하는 플랫폼을 실현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은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위해 선보일 첫번째 기기는 프로젝트 무한 헤드셋에 대해 “가장 편안하고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최첨단 기술을 통해 비교할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했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대한 기자 / dayhan@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