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사 배당확대 의지, 당국 입김에 제동 걸리나

보통주자본비율 관리 강화 주문, 주가 악영향

금융당국이 은행을 포함한 금융지주사에 보통주자본비율을 관리하겠다는 뜻을 밝힌 데 따라 주주친화 정책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지난해 수준 이상의 배당성향 확대는 어려울 가능성이 커 주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보통주자본은 ▲보통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등으로 구성된다. 이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값이 보통주자본비율이다. 금융회사의 근본적 자본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활용된다.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당국에서 제시한 보통주자본비율의 규제 하한선은 7.0%이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8개 금융지주의 올 1분기 보통주자본비율은 12.72%로 전년 말 12.73% 대비 0.01%포인트 하락했다. 큰 폭의 변화는 아니지만 주요 금융지주들이 올 1분기에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점을 고려하면 상충된 결과다.

8개 금융지주사의 보통주자본비율은 지난해 이익 창출에 힘입어 지난해 3, 6, 9월말 각각 12.47%, 12.72%, 13.00%로 점차 개선됐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주춤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최근 시장금리 급등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국내외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만큼 예상치 못한 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보통주자본비율을 중심으로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주요 금융지주사로 손꼽히는 4대 지주사가 평균 이상의 감소폭을 보였다는 점은 당국이 감독 강화에 적극 나서게 된 결정적인 이유다.

세부적으로 하나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는 각각 0.21%포인트, 0.17%포인트씩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는 각각 0.10%포인트, 0.04%포인트씩 떨어졌다. 이들의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3.57%, 11.26%, 13.00%, 13.42%다.

최근 취임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역시 보통주자본비율 관리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금감원장은 지난 20일 은행장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금융사의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할 것을 주문하며 충분한 규모의 충당금 적립과 보통주자본비율의 개선을 적극 당부했다.

그러나 보통주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익잉여금을 확보해야 하는데 현재 금융 상황 상 이자 이익 확대가 어렵다. 특히 BIS비율을 높이기 위해 발행하는 후순위채나 신종자본증권은 보통주자본비율 산출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결국 금융사들은 비율을 관리하기 위해 배당을 축소하는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권 시각이다. 통상적으로 배당 확대는 자기자본 감소로 이어지는데, 내부유보를 확대해 자기자본 규모를 키워야 하는 상황에서 배당성향을 적극 확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25~26% 수준이었던 지난해 배당성향을 올해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표적 주가부양책인 배당 확대에 제동이 걸릴 경우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요 금융지주는 1분기 실적발표에서 자사주 매입과 배당 확대 등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주주가치 극대화에 힘쓰겠다고 거듭 강조했지만 이를 현실화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라며 “중간배당을 공식화하는 등 주주환원책이 확산되는 분위기 속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유수정 기자 / crysta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