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워치] 4연임 박종복 SC제일은행장, 재무·지배구조 개선 이어간다

경영 성과 인정받아 4연임 성공…재임 10년 채운다
구원투수 등판 후 재무 성과 개선…브랜드 친숙화 전략도
선진 지배구조 도입…금융사 최초 지배구조 명예기업 선정

박종복 SC제일은행장이 재무·지배구조 안정화 성과를 바탕으로 4연임에 성공했다. 이번 재선임으로 모기업인 스탠다드차타드(SC)그룹의 전폭적인 지지를 다시 한번 확인한 그는 경영 연속성을 바탕으로 1년 더 SC제일은행을 이끌게 됐다.

1955년생인 박 행장은 경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제일은행에 입행했다. 20여 년간 일선 영업점을 두루 경험한 뒤 영업본부장, 리테일금융총괄본부장 등 은행 영업의 핵심 요직을 두루 거친 영업통이다. 2015년 1월 SC금융지주 회장 겸 은행장에 임명됐고 2018년과 2021년 각각 은행장으로 재선임됐다.

금융당국의 금융사 수장 장기집권 반대에도 박 행장이 4연임 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모기업 SC그룹이 SC제일은행의 지분 100%를 들고 있다는 외국계 은행 특성도 있지만, 박 행장이 성과주의 기조 아래 은행의 재무구조와 지배구조를 개선했다는 점이 더 크다는 평가다.

박 행장 선임 직전인 2014년 24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SC제일은행은 다음 해까지 적자를 이어갔다. 구원투수로 등판한 박 행장은 과감한 조직개편으로 경영 효율화에 주력했고, 그 결과 2016년 SC제일은행을 흑자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했다.

재무 실적 개선은 단발성에 그치지 않았다. 박 행장은 2018년 재임 이후 SC제일은행과 모기업 SC그룹의 브랜드를 조화시켰다. SC그룹 인수 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이라는 생소한 명칭을 다시 ‘제일은행’으로 돌린 것도 박 행장의 설득이 뒷받침됐다.

브랜드 매칭은 사업 시너지로 자연스레 이어졌다. 박 행장은 글로벌 자산관리(WM) 서비스를 접목해 소매금융 라인업을 넓혔다. 기업금융의 경우 SC그룹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데 주력했다.

그 결과 SC제일은행의 총자산은 2015년 56조4313억원에서 지난해 98조3926억원으로 배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연간 당기순이익은 -2858억원에서 3901억원으로 크게 개선됐다. 올해 상반기 누적 순이익은 2092억원을 기록했다.

SC제일은행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박 행장은 2015년 은행장으로 임명된 이래 2016년 흑자로 전환시키고 SC제일은행으로 은행명을 변경하는 등 한국 현지 사정에 맞는 적정한 전략을 통해 재무 실적을 꾸준하게 개선시켰다”고 재선임 사유를 밝혔다.

여기에 SC제일은행의 지배구조 개선도 박 행장의 재선임 배경으로 꼽힌다.

SC제일은행은 2021년 한국ESG기준원이 선정하는 우수기업에 2년 연속 단독 대상을 받았고, 지난해에는 금융회사 최초로 ‘지배구조 명예기업’에 선정됐다. 다양성과 포용성(D&I) 전략을 수립해 국내 시중은행 중 여성 임원 및 관리자 비율이 가장 높은 은행으로 꼽힌다.

사회적 금융 지원에도 적극적이다. ‘2022년 은행별 경영현황 공개보고서’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은 지난해 새희망홀씨, 햇살론 등 사회책임금융에 497억원, 취약계층 및 지역사회 지원 등 사회공헌활동에 107억원을 투입했다.

박 행장의 새 임기는 2024년 1월 8일부터 1년이다. 최장수 현직 CEO 박 행장이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불확실한 경영 여건에서 재무구조와 지배구조 개선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금융권 관심이 집중된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기율 기자 / hkps099@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