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모바일 40년, 경제적 파급효과 78조…“서비스는 세계 최고, 이통사 수익률은 최저”

2020년 이통 서비스 총 생산유발액 78조2102억원…1985년보다 32배↑
타산업 생산유발액 31조4502억원…플랫폼·쇼핑·콘텐츠 등 디지털 산업 전반 영향
경제파급력·인프라 고도화 했지만 이통사 수익률은 낮아…미·유럽 등 주요국 중 ‘최하위’
CEO스코어,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반 국내 이동통신 산업연관분석

지난 1984년 K-모바일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카폰’ 서비스가 시작된지 올해 40주년을 맞는 한국 이동통신 산업이 한 해 78조원을 웃도는 경제적 유발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국내 이통사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반해, 수익성은 세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김경준)가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연관 효과를 조사한 결과, 지난 2020년 국내 이통 산업의 총 생산유발액은 78조2102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이동통신 서비스 업종에서 파생된 직접 생산유발액이 46조7599억원, 모바일 서비스와 연관이 큰 타산업 생산유발액도 31조 4502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 1985년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창출한 생산유발액 2조4105억원 대비 32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조사는 CEO스코어가 1984년 K-모바일 서비스가 시작된지 40주년을 맞아, 국내 이동통신 산업이 전후방 관련 산업에 어떤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은행이 작성한 산업연관표(1985~2020년)를 활용해 자체 분석한 결과다. 

CEO스코어 조사 결과,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의 자체 생산유발액은 지난 1985년 2조644억원에서 2020년 46조7600억원으로 약 22배 성장했다. 국내 이동전화 가입 회선 수는 지난 1991년 무선호출 83만7000개, 이동전화 16만3000개를 기록하며 최초로 100만개를 돌파한 이후, 32년이 지난 2023년 말 8389만 개(이동전화·IoT·기타회선 포함)로 80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는 지난 1984년 SK텔레콤이 아날로그 이동통신(1G) 시대를 연 이후, 1996년 CDMA(2G)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며 디지털 이동통신 시대로 진화했다. 특히 지난 2019년 4월에는 SKT·KT·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해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비약적인 성장을 일궈냈다.

또한 모바일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연관산업의 경제적 파생효과도 2020년 31조4502억원에 달했다. 특히 지난 2007년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한 이후, 인터넷 플랫폼, 온라인쇼핑, 모바일 금융, 모바일 동영상 및 게임 등 디지털 신산업이 급성장 하면서 파급효과가 배가됐다.

이중 오프라인 커머스를 비롯해 온라인 쇼핑, 홈쇼핑 등 ‘도소매 및 상품중개서비스’ 생산유발액은 1985년 218억원에서 2020년 7조7947억원으로 357배나 증가했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 포털, 모바일 플랫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이 급성장 하면서, 2020년 플랫폼산업(기타IT,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과 콘텐츠산업(방송서비스·영상, 오디오물 제작 및 배급)에 미친 생산유발액이 각각 1조8445억원, 1998억원에 달했다.

이처럼 국내 경제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가져온 이통 산업은 기술력과 서비스 수준에서도 세계 무대에서 최정상급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인텔리전스가 올해 2월 발표한 ‘5G 현황(The State of 5G)’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5G 연결성 지수(5G Connectivity Index results by market) 평가에서 한국은 기술력 측면에서 주요국 중 1위로 평가됐다. 또한 2022년 기준 한국의 5G 가입자 비율은 36.4%로 세계 1위를 기록중이며, 특히 SK텔레콤은 5G 가입자 1393만명으로 글로벌 5G 가입자 수 8위에 랭크됐다.

하지만 국내 이동통신 산업이 40년간 높은 생산유발 효과와 최고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반해 국내 이통사들의 수익률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세계 주요국들의 이통 3사 영업이익률을 조사한 결과, 미국 18.1%, 일본 16.6%, 유럽 15.3%, 중국 10.3%로 모두 두 자릿수를 기록한 데 반해, 국내 이통사들은 7.5%로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국내 1위 이통사인 SK텔레콤의 영업이익률은 10.0%로 국내에서는 가장 높았지만, 글로벌 통신사인 AT&T(19.2%), NTT 도코모(18.6%), 도이치 텔레콤(18.6%), T-모바일(18.2%) 등 보다 낮은 11위에 그쳤다.

낮은 수익률에도 국내 이통사들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R&D)비 비중은 중국의 국유 이통사들과도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2023년 주요국 이통 3사의 기업별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공시기업 기준)은 차이나 텔레콤이 2.6%로 가장 높았고, SKT가 2.2%로 바로 뒤를 이었다. 특히 최근 국내 이통 3사는 인공지능(AI)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거대언어모델(LLM)과 AI 서비스 개발 등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김경준 CEO스코어 대표는 “국내 이동통신 기업들은 1984년 이동통신 상용화 후 첨단통신기술을 각종 서비스에 접목하며, 디지털 신산업의 핵심 인프라를 발전시켜왔다”면서 “특히 글로벌 주요 통신사와 비교해 고품질의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제공하면서 소비자 후생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해 왔다”고 평가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