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실증 추진

한전과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실증 업무협약 체결
22.9kV급 반도체 변압기(SST) 기반 메가와트급 충전시스템 실증

서장철 LS일렉트릭 최고기술책임자CTO (왼쪽)와 심은보 한전 전력연구원 원장이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실증 MOU를 체결했다. <사진=LS일렉트릭>

LS일렉트릭이 재생에너지와 계통 연계에 최적화된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실증에 나선다.

LS일렉트릭은 1일 경기도 안양시에 위치한 글로벌 R&D 캠퍼스에서 한국전력공사와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 실증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은 재생에너지 수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력망 인프라를 의미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탄소중립, 녹색성장을 위해 2021년부터 재생에너지에 최적화된 송·배전망 연계, AC-DC 통합운영이 가능한 이동형 변전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과제다.

이번 협약에 따라 LS일렉트릭은 한전 전력연구원의 변전설비 운영기술을 활용해 메가와트(MW)급 충전시스템 개발·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LS일렉트릭은 올해 연말부터 내년 초까지 한전 고창전력시험센터 변전설비 실증시험장에서 154kV 실계통 연계를 통해 모바일 허브스테이션의 최적 운영 알고리즘 개발에 나선다.

또한 탄소배출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기여 효과 분석 등 차세대 전력망 운영기술 확보를 목표로 재생에너지 연계 모바일 허브스테이션을 실증한다.

특히 이번 실증에는 반도체 기술이 적용된 22.9kV급 SST(반도체 변압기)를 활용한 DC 배전을 통해 ESS,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와의 연계가 용이하도록 하는 충전시스템이 포함된다.

이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대비 무게와 부피를 각각 60%, 40%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반면 효율은 약 5% 향상시켜 시스템 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설치면적과 운영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기존 전력공급 시스템의 고압 배전반, 변압기, 전력변환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 설치 시간과 면적을 크게 감소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이번 실증을 통해 SST를 이용한 메가와트급 충전시스템과 탄소중립 시대 대응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검증할 계획이다”며 “미래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부족한 전력계통 용량을 보완하기 위해 대용량 ESS와 연계가 필수적인 만큼 반도체 변압기 기반 전기차 충전시스템은 다가올 메가와트급 충전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대한 기자 / dayhan@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