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창사 56년 만에 첫 파업 위기에 놓였다. 노조가 회사 측의 추가 임금협상 제시안을 거부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어서다. 파업이 현실화 할 경우, 포스코 뿐만 아니라 제조업 전반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포스코노조)는 전날 포항 본사 앞에서 파업 출정식을 개최한데 이어 이날 광양제철소 앞에서도 출정식을 열었다.
근무 시간 이후에 진행되는 출정식은 조합원 의지를 모으고 파업에 대한 방향성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한 단계다. 노조는 회사 측과 임금협상을 이어 나가되 추이에 따라 단계별 쟁의에 들어갈 방침이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6월 상견례를 시작으로 지난달 29일까지 총 12차례 본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측은 최근 추가 제시안에서 기본급 10만원 인상과 일시금 600만원 지급 등을 내세웠으나, 노조는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사측에 기본급 8.3% 인상과 격려금 300%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노조는 지난달 25일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투표에서 72.25%의 찬성으로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오는 19일에는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상경 집회를 벌일 계획이다.
문제는 현재 포스코가 잇단 화재와 업황 부진에 따른 공장 폐쇄 등 대내외 악재로 시름하고 있다는 점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3파이넥스공장은 지난달 10일과 24일 폭발·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설비강건화TFT’를 발족을 주문하고, 회사의 위기 상황을 고려해 임원의 근무일을 격주 4일제에서 주 5일제로 전환시켰다.
여기에 올해만 공장 2곳이 문을 닫았다. 포스코는 지난 7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에 이어 45년 넘게 가동해 온 1선재공장을 전격 폐쇄했다. 글로벌 철강 공급 과잉과 중국산 저가 철강재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탓이다. 실제 회사의 3분기 영업이익은 43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8% 감소했다.
내년 전망도 어둡다. 대대적인 ‘관세 폭탄’을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통상 정책으로 대미 수출 물량이 제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데다 중국의 저가 공세가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노조의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포스코 뿐만 아니라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 전반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포스코 관계자는 “회사는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한 경영여건에도 불구하고 전향적인 안을 제시했고, 노조와 소통하며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했음에도 교섭이 난항을 지속하는 점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평화적으로 교섭을 타결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주선 기자 / js753@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