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2025 발명왕’ 금상 수상자로 선정된 강석욱 셀 선행 공정 기술 건식 전극 Pilot 기술팀장.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주목 받는 건식 전극 분야에서 미래 핵심 자산이 될 ‘명품 특허’를 확보했다.
LG엔솔은 최근 서울 여의도 파크원본사에서 ‘2025 발명왕·출원왕 시상식’을 개최하고, 건식 전극 및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서 명품 특허 기술을 확보한 직원을 선발해 시상했다고 19일 밝혔다.
발명왕·출원왕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개발(R&D) 문화를 장려하고,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진행하는 대표적인 포상 제도다.
올해 발명왕은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혁신적 특허를 낸 직원 6명, 출원왕은 핵심 특허를 다수 출원한 직원 6명 등 총 12명이 선정됐다. 사내·외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단이 특허성, 기술성, 사업성 등을 기준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결정했다.
발명왕 금상은 ‘건식 전극 섬유화도 및 인장 강도 개선 기술’을 개발한 강성욱 팀장에게 돌아갔다. 해당 기술은 건식 전극의 섬유화 수준을 최적화해 세계 최초로 양산급 건식 전극을 제조 가능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 특허로 LG엔솔은 건식 전극의 기술 주도권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 전 세계에 건식 전극 관련 특허를 약 450건 출원하며 특허 경쟁력도 강화했다.
이 외에도 △리튬 친화 물질 코팅·산화 음극 집전체가 적용된 무음극 전지(은상, 이정필 책임) △46시리즈 원통형 캔에 적용된 2장 이상의 노칭 알루미늄 탭(은상, 김재웅 팀장) △미세 단락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안전 진단 기술(동상, 김기훈 책임) △소립자 결정 크기가 200nm 이상인 바이모달(Bimodal) 양극 기술(동상, 이동훈 팀장) △열 폭주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물성 특허 기술(동상, 이민욱 책임) 등도 발명왕 기술로 선정됐다.
출원왕 금상은 배터리 진단 및 수명 개선 기술 분야 등에서 총 19건의 핵심 특허 출원에 기여한 최순형 책임이 수상했다.
△강경수 책임(은상) △윤서영 책임(은상) △김지연 책임(동상) △김광모 책임(동상) △정기택 책임(동상) 등도 출원왕으로 뽑혔다.
이렇듯 LG엔솔은 발명왕·출원왕 제도를 통해 구성원들의 지식 재산 창출 역량을 제고하는 데 적극 힘쓰고 있다.
LG엔솔은 지난달까지 전 세계 배터리 업체 중 압도적 1위인 등록 기준 약 4만2000건, 출원 기준 약 7만5000건의 특허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상태다. 소재부터 셀, 팩, BMS(배터리관리시스템), 제조 공정 전반에 이르는 기술 우위를 확보한 LG는 지속적인 R&D 투자와 인재 격려를 통해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김동명 LG엔솔 사장은 “특허는 우리의 기술적 역량을 ‘자산화’하는 것이다”며 “구성원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 R&D를 지속할 수 있도록 투자와 인재 육성에 대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