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토종벌 명인 1호 김대립 명인이 LG가 조성한 토종 꿀벌 서식지에서 꿀벌 통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LG>
LG가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토종 꿀벌’을 키우는 사회 공헌 사업에 나섰다.
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 광주시 곤지암 소재 생태 수목원 ‘화담숲’ 인근의 정광산에 토종 꿀벌 서식지를 조성했다고 19일 밝혔다.
꿀벌은 꽃가루를 옮기는 수분을 통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종 이상의 작물 생산에 관여하는 중요한 곤충이다. 꿀벌이 사라지면 작물 생산량 감소로 식량 부족 사태가 발생할 수 있고, 나아가 자연 생태계 전체를 위협할 수도 있다.
이렇듯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꿀벌의 개체 수는 자연 생태계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특히 돌배나무와 같은 토종 식물은 서양 벌이 아닌 토종 꿀벌에 대한 수분 의존성이 높다. 이에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서는 토종 꿀벌의 보존이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토종 꿀벌을 찾아보기가 날로 힘들어지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수십억마리 규모였던 토종 꿀벌은 꿀벌 전염병인 낭충봉아부패병으로 인해 약 98%가 사라지며 멸종 위기에 처한 바 있다.
이후 낭충봉아부패병에 강한 개량종 개발과 민·관의 관심과 노력으로 개체 수가 점차 회복하는 듯했으나 심화하는 기후 변화로 인해 2021년부터 매년 수십억마리의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이에 토종 꿀벌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위기를 의식한 LG는 화담숲 인근에 마련한 꿀벌 서식지를 통해 토종 꿀벌인 ‘한라 토종벌’ 100만마리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매년 개체 수를 2배 이상 증식하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 화담숲은 꿀을 품은 나무를 뜻하는 밀원수(꿀샘 나무)와 꽃 등 밀원 식물 자원이 풍부해 꿀벌의 개체 수가 증가해도 안정적으로 먹이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
아울러 LG는 안정적인 국내 꿀벌 생태계 조성을 위해 밀원 식물의 수를 늘리는 계획도 수립 중이다.
LG는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대한민국 토종벌 명인 1호 김대립 명인, 국내 대표 양봉 사회적 기업인 비컴프렌즈와 협업해 토종 꿀벌 보호와 증식에 나서기로 했다.
40년 간 토종 꿀벌을 육성하고 보급하는 데 힘써온 김 명인은 토종벌 인공 분봉법, 여왕벌 관리 장치, 다기능 토종벌 출입문 등 토종 꿀벌 사육 관련 기술 특허 9건을 개발해 등록한 바 있다.
김 명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의 먹거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LG와 함께 토종 꿀벌 보호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노하우를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LG는 김 명인과 비컴프렌즈와 함께 올 6월까지 꿀벌 백만 마리가 서식지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에 집중한다.
LG는 조성한 꿀벌 서식지의 적정 사육 규모인 400만마리까지 증식을 성공적으로 끝낸 뒤, 비컴프렌즈와 함께 증식한 꿀벌을 양봉 피해 농가에 지원할 예정이다.
LG 관계자는 “토종 꿀벌을 육성하고 증식하는 사업은 단순히 한 개체를 보호하기 위함이 아닌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를 살리는 데 기여하기 위함이다”며 “앞으로도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 생물 다양성을 보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