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대 5G’ 알뜰폰, 알고보니 ‘무늬만 반값’…“프로모션 끝나면 2~3배 요금인상, 소비자 외면”

5G 알뜰폰, ‘1만원대 요금제’ 출시에도 월 1만명 순증
프로모션 기간 종료 후 월 2~4만원대로 요금 올려
QoS 서비스도 미지원…추가 요금 ‘폭탄’ 우려
새 정부서 ‘QoS 의무화’ 추진…비용 부담 주체 논의 필요

통신비 인하 명분으로 정부와 알뜰폰 업계가 야심차게 선보인 ‘1만원대 5G’ 요금제가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프로모션 기간이 끝나면 2~4배 비싸지는 ‘무늬만 반값’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찬밥 취급을 받고 있는 것이다. 실제 알뜰폰 업체들이 1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한 지 4개월여가 지났지만, 가입자는 월 1만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1만원대 5G 알뜰폰 요금제가 출시된 지난 2월과 3월 5G 알뜰폰 회선 순증은 각각 1만683건, 1만963건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알뜰폰 회선 증가 수의 약 10%에 그치는 수준으로, 당초 초저가 5G 요금제라는 기대와 달리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1만원대에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뜰폰 요금제가 외면받는 가장 큰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가격’ 때문이다. 

해당 요금제는 대부분 5~7개월의 프로모션 기간이 지나면 월 2만~4만원대로 요금이 인상된다. 이는 기존 이동통신 3사(MNO) 요금제와 큰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 LTE 알뜰폰 요금제와 비교하면 2~3배 비싼 가격이다.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굳이 5G 알뜰폰으로 갈아탈 이유를 찾지 못하는 것이다.

가격 경쟁력 부재에 더해 데이터 소진 후 속도 제한을 두고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QoS(서비스 품질 지속)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것도 문제다. 현재 출시된 1만원대 5G 요금제는 대부분 기본 데이터 20GB를 소진하면 1MB당 22.53원의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기본 데이터를 모두 소진하고 추가로 데이터를 소진할 경우, 자칫 요금폭탄을 떠 안을 수 있다. 

이때문에, KT와 LG유플러스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사업자들은 1만원대 5G 요금제 출시를 주저하며 관망세로 돌아섰다. 실효성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알뜰폰 소비자는 요금제 가격에 극도로 민감하다”면서 “가격 메리트도 크지 않은데, 데이터가 끊기거나 추가 요금 걱정까지 해야 하는 5G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출처=연합뉴스>

다만, 새 정부에서 ‘QoS 의무화’ 정책을 내놓으면서 5G 알뜰폰의 경쟁력이 다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정부는 ‘전 국민 데이터 안심요금제’ 도입을 통해 1만원대 종량제 요금제에도 QoS를 적용, 소비자들이 추가 요금 걱정 없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QoS 의무화는 통신사의 수익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통 3사의 강력한 반발이 우려된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개정 등을 통해 QoS 의무화 규정을 포함해야 한다. 특히 QoS 서비스를 지원하는 대신 요금제가 인상된다면, 수요가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QoS 의무화 정책은 알뜰폰의 약점을 보완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면서도 “도매대가 인하라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결국 QoS를 제공하는 만큼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가성비 요금제’를 갖추기 위해서는, QoS 지원에 따른 비용을 누가 부담할 것인지에 대해, 정부와 이통 3사 간 합의가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