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 “지금이 해외진출 최적기…2030년 글로벌 거래액 30조 목표”

글로벌 전략으로 ‘풀필먼트·국내외 입점 연동·앱 통합’ 제시
박준모 대표 “IPO, 글로벌 확장의 중요한 투자 방식 중 하나”

10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5 무신사 글로벌 파트너스 데이’에서 박준모 무신사 대표(오른쪽)가 기자회견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은 이승진 무신사 S&C 본부장. <사진=최수빈 기자>

무신사가 국내 패션 브랜드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풀필먼트 서비스와 국내·글로벌 스토어 간 입점 연동, 국내·글로벌 앱 통합 등을 추진한다. 또 해외 시장 공략으로 5년 안에 글로벌 거래액 3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현재 계획 중인 상장을 통해 자금이 조달될 경우, 해외 진출에 필요한 물류 인프라 구축 등에 대거 활용할 예정이다.

10일 무신사는 서울 중구에 위치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이하 DDP)에서 ‘2025 무신사 글로벌 파트너스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박준모 무신사 대표는 ‘무신사가 K-패션 브랜드와 함께 만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무신사 측이 공식석상에서 글로벌 진출 전략을 공개한 것은 처음이다.

박 대표는 “K-컬처가 메인스트림이 되고 과거와 다른 시장 반응과 기회가 존재하는 지금이 한국 브랜드의 해외 진출 최적기”라며 “무신사는 규모, 성장률, 사업영역 모든 측면에서 압도적인 국내 최고의 패션 브랜드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무신사는 해외 진출을 꾀하는 입점 브랜드를 대상으로 물류 대행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입점 브랜드가 무신사 물류센터에 상품 재고를 입고하면, 통관과 현지 배송 등 고객 주문에 대응하는 글로벌 물류 전 과정을 무신사가 담당한다.

무신사에서 주요 공략 국가로 꼽은 일본의 경우 물류 전진 배치 서비스를 론칭해 기존 일주일 안팎으로 소요되던 배송 기한을 1~2일로 단축하는데 성공했다. 전진 배치 서비스란 타겟팅 국가에 재고를 미리 입고해두고, 주문이 들어올 경우 재고를 배송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서비스는 지난 4월부터 일본에서 테스트를 시작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해외 진출 입점 브랜드를 대상으로 해당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

또 오는 8월부터 국내 스토어와 글로벌 스토어 간 입점 연동 시스템을 제공할 방침이다. 현재 2000여개의 해외 진출 브랜드가 입점했지만, 8월 이후 8000개까지 늘릴 전망이다.

박 대표는 글로벌 진출 지원 브랜드 선정 요인에 대해 “브랜드가 스스로 호소력 있는 스토리와 고유한 정체성을 지녀야 한다”라며 “무신사는 그 스토리를 이해해서 고객들이 이해하기 좋은 형태로 콘텐츠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지난 2022년 처음 론칭한 글로벌 앱의 사용자경험 디자인(UX·UI)을 국내 앱과 통합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앱에서만 검색과 추천, 랭킹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무신사 측은 구체적인 글로벌 거래액 목표치를 제시했다. 지난해 기준 무신사는 연간 거래액 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박 대표는 “K브랜드는 상품만 준비하고 나머지는 무신사가 모두 지원하는 방식으로 5년 내 글로벌 거래액 3조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전략을 바탕으로 무신사는 올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온·오프라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재 무신사는 13개 국가에 진출했으나 타겟팅 지역을 중동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오프라인 매장 역시 내년 싱가포르와 태국에 출점하는데 이어 2030년까지 미국,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북미와 동남아시아 지역까지 진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무신사 측은 글로벌 진출과 맞물려 기업공개(IPO)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대표는 “물류 인프라 관련 투자에 대해 정확한 수치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라며 “IPO를 글로벌 확장의 중요한 투자 방식 중에 하나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표는 “조만간 주관사 선정을 진행할 것”이라며 “거래소를 국내로 할지, 해외로 할지 확정하지 않았다”고 했다.

한편 무신사는 오는 11일 진행되는 글로벌 파트너스 데이에서 패션 브랜드와 마케팅·물류기업, 투자사 등 1000여개사 1500여명을 대상으로 해외시장 진출 전략을 소개할 계획이다.

[CEO스코어데일리 / 최수빈 기자 / choi3201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