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지난해 경제기여액 359조원…국내 그룹 1위

CEO스코어 2024년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경제기여액 집계
현대차그룹 경제기여액 359조원…100대 기업 내 비중 22.3%

현대차·기아 양재 본사 전경.<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의 지난해 경제기여액 규모가 국내 그룹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의 성과가 국가경제 발전과 이해관계자들의 동반 성장을 촉진하는 선순환 형태로 확산하고 있다는 평가다. 현대차그룹은 어려운 위기 속에서도 국가 경쟁력 강화에 지속 기여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기업데이터연구소인 CEO스코어가 500대 기업(공기업·금융사 제외)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024년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그룹 중 현대차그룹(9개사)의 경제기여액을 359조438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경제기여액은 기업이 경영활동으로 만들어내는 경제적 가치를 모두 더한 것으로, 한 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파급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평가 지표로 거론된다. 임직원 급여, 협력사 대금, 정부 법인세, 주주 배당, 기부금 등의 형태로 이해관계자에게 지급되는 비용의 총합으로 산출된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경제기여액 359조4384억원은 2023년(338조7143억원)과 비교했을 때 6.1% 증가했다. 100대 기업 전체 경제기여액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21.8%에서 지난해 22.3%로 0.5%포인트 상승했다.

현대차그룹의 경제기여액은 구체적으로 △협력사(거래대금) 306조6295억원 △임직원(급여 등) 34조595억원 △정부(세금 등) 9조2613억원 △주주(배당 등) 7조5808억원 △채권자(이자) 1조 5994억원 △사회(기부금) 3078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현대차그룹은 다른 국내 그룹과 비교했을 때 경제 전반에 가장 큰 파급효과를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그룹의 지난해 경제기여액은 국내 주요 그룹 3곳의 △A그룹(8개사) 247조563억원 △B그룹(8개사) 190조173억원 △C그룹(10개사) 145조3347억원 등을 크게 상회했다.

현대차그룹 9개 회사의 개별 경제기여액은 △현대자동차 115조2187억원 △기아 86조5890억원 △현대모비스 52조1965억원 △현대건설 30조2921억원 △현대글로비스 25조4479억원 △현대제철 15조4795억원 △현대엔지니어링 15조170억원 △현대트랜시스 11조7964억원 △현대위아 7조4013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현대차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현대자동차, 기아, 현대모비스는 개별 100대 기업 중 경제기여액 상위 톱 5에 이름을 올렸다.

현대차그룹이 국내 그룹 중 가장 큰 규모의 경제기여액을 창출할 수 있던 배경에는 자동차, 건설 등 전후방 연관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견실한 사업구조를 갖춘 다수의 계열사로 구성돼 있다는 점, 최근 개선된 실적을 바탕으로 배당 확대 등 적극적인 주주 친화적 정책을 펼쳐온 점 등이 거론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은 앞으로도 협력사 동반성장, 주주가치 제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하며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

국내 주요 그룹별 경제기여액.<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이러한 성과는 계열사들이 자동차, 건설 등 전후방 연관산업의 파급효과가 큰 사업구조를 갖췄고 최근 실적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주주 친화적 정책을 펼쳐왔기 때문이라고 업계는 분석한다.

아울러 현대차그룹은 국내 신규 생산시설, 물류거점 등을 확보하며 성장 기반 강화에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아는 지난해 국내 최초의 전기차 전용 공장인 ‘광명 EVO Plant(이보 플랜트)’를 완공해 EV3 등을 생산하고 있다. 올 하반기에는 ‘화성 EVO Plant’를 완공하고 PBV 생산에 돌입한다. 현대차는 내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울산 EV 전용공장을 건설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경북 경주에 970억원을 투입해 대규모 통합물류센터를 건립했다. 이 센터는 내수용 A/S(사후관리) 부품을 전국 1000여개 이상의 물류망으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한편 자동차 산업이 생산 유발, 일자리 창출, 지역 발전 측면에서 국내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자동차산업 수출의 생산 유발액은 2365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우리나라 주요 수출 품목 중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생산유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13.8%에서 지난해 18.2%로 크게 증가하는 등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확대됐다.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K-자동차’의 무역흑자는 지난해 사상 최대인 727억달러를 기록했고 수출액 대비 무역흑자 비중은 78%로 반도체(49%), 일반기계(40%) 등을 앞질렀다. 국내 직·간접 고용인원은 약 150만명으로 철강(41만명), 반도체(28만명) 등을 크게 앞섰고 평균임금(6091만원)도 국내 제조업 평균(5377만원)을 상회했다.

자동차산업의 권역별 생산 비중은 동남권(35%), 수도권(29%), 충청권(16%), 호남권(11%), 대구·경북권(9%) 등 고르게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도체는 수도권(82%), 조선은 동남권(80%)에 집중됐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각국의 보호 무역주의가 강화됨에 따라 자동차 산업은 기업을 넘어 국가 간 경쟁으로 판도가 뒤바뀌고 있다”며 “우리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국가 경제에 더욱 기여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갈 수 있도록 어느 때보다 성원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병훈 기자 / andrew4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