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임기를 3개월 남기고 사퇴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대선 캠프 출신으로 ‘낙하산 인사’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만큼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예고된 수순이라는 평가다. 다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KAI의 사장 교체가 반복되고 있어 자칫 경쟁력을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AI는 전날부터 차재병 고정익사업부문장(부사장)이 임시 대표이사로 직무를 대행하고 있다. KAI에서 차 부사장은 강 전 사장을 제외하면 유일한 사내이사다.
KAI 관계자는 “일신상의 사유로 인한 사임 및 신규 선임”이라며 “채 부사장의 임기는 공시일 이후 최초로 개최되는 주주총회 및 후속 이사회를 통한 차기 대표이사 선임 시까지”라고 설명했다.
앞서 강 전 사장은 지난달 4일 한국수출입은행을 찾아 직접 사의를 표명했다. 수출입은행은 KAI 지분 26.4%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로, 이사회 구성과 사장 선임 등에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시작된 지난 2022년 9월 취임한 강 전 사장의 임기는 3년으로 오는 9월까지였지만 새 정부 시작과 함께 사의를 밝혔다. 그는 공군사관학교 30기 출신으로 지난 2022년 대선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군인들의 모임인 ‘국민과 함께하는 국방 포럼’의 운영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강 전 사장의 경영 성과를 두고 업계의 평가는 엇갈린다. 강 전 사장은 2022년 26.3%에 불과했던 고정익 사업 매출 비중을 지난해 46.91%까지 끌어올렸다. 회전익 분야에서는 국산 헬기 수리온 2대를 이라크에 수출했다.
최근에는 필리핀 국방부와 FA-50 12대 추가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달성하기도 했다. 해당 사업은 계약금액만 7억달러(약 1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임기 막바지 필리핀 계약을 제외하면 수출 성과가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부진한 실적은 아쉬운 대목으로 꼽힌다. KAI는 지난해 국내 방산 4사 중 유일하게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매출은 3조6337억원, 영업이익은 240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9%, 2.8% 줄었다. 올해 1분기에도 매출 6993억원, 영업이익 46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5.5%, 2.5% 감소했다.
업계 일각에선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사장 교체가 반복되면서 회사의 안정적인 리더십은 물론 경쟁력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KAI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장이 교체되는 일이 잦았다. 지금까지 KAI를 거친 8명의 사장 가운데 내부 출신은 5대 하성용 사장이 유일하다.
익명을 요구한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KAI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장이 교체되는 사기업의 탈을 쓴 공기업”이라며 “주로 대선 캠프 출신들이 오기 때문에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세를 위해서라도 후임 사장은 방산 기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인물이 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강 전 사장 후임으로는 강은호 전 방위사업청장이 거론된다. 강은호 전 청장은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 국방선임행정관을 지내고 방위사업청 내부 직원 중 처음으로 차장과 청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국방산업특보로 활동했다.
류광수 전 KAI 부사장도 후보군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재직 중인 류광수 전 부사장은 KAI에서 한국형전투기 KF-21 개발을 총괄했던 고정익사업부문장 출신으로 알려졌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주선 기자 / js753@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