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화웨이 다시 옥죈다…애꿎은 삼성·SK로 불똥 튀나

미, 대중 제재 강화 움직임…반도체 업체 수출 면허 취소
K-반도체로 파장 우려…“핵심 부품, 화웨이에 우회 공급될 수 있어”
삼성·SK 대중 수출 통제 조치 무기한 유예 취소되나 또 전전긍긍

미·중 반도체 갈등. <그래픽=권솔 기자>

미국이 중국 최대 통신 장비 업체 화웨이에 다시 고강도 제재에 나선다. 미 정부가 대(對) 중국 반도체 수출을 막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화웨이가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칩을 탑재하면서 다시 부활의 날개짓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저지하려는 미국의 제재가 다시 거세지면서 K-반도체까지 불똥이 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당장,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무기한 유예해줬던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 조치가 다시 시행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로이터 통신은 현지시간으로 7일 미국 상무부가 화웨이에 반도체 등을 수출하는 일부 업체에 대해 수출 면허를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이들 반도체 업체들은 이날 수출 면허가 즉시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화웨이가 내놓은 AI 노트북 ‘메이트북 X 프로’에 인텔의 새로운 코어 울트라 9 프로세서를 탑재한다고 발표한 직후 나왔다.

이와 관련해 미국 공화당 의원들은 “미 상무부가 인텔에 첨단 반도체 수출 허가를 해줬기 때문이다”고 거세게 비판했다.

그간 미국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2019년부터 화웨이를 수출 통제 명단에 올려놓고, 강력한 제재를 가해 왔다. 이에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된 부품을 화웨이에 수출하기 위해선 매우 까다로운 별도의 수출 면허를 획득해야 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를 포함한 역대 미국 정부는 화웨이에 수십억달러 규모의 반도체 등을 수출할 수 있는 허가를 내줬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비단 일부 반도체 업체의 수출 면허 취소에서 그치지 않는다. 미국은 중국 반도체 업체들을 직접 제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미 정부가 화웨이를 견제하기 위해 화웨이와 협력 관계에 있는 중국 반도체 업체들에 대해서도 통제 조치를 시행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주요 반도체 업체들과 화웨이의 거래를 제한하는 기존 제재에 더해 화웨이 제품에 필요한 공급망에도 타격을 주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중국 화웨이 본사. <사진=화웨이>

사실상 미국이 화웨이에 대한 제재 강도를 다시 높이면서 반도체 굴기를 향한 중국의 야욕 꺾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미 정부의 이같은 행보에 애꿎은 K-반도체만 미·중 갈등의 피해를 떠안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이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수출 면허를 취소하고 나선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삼성·SK도 언제 수출 규제를 받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거 화웨이에 K-반도체의 메모리가 장착된 적 있어 이같은 위기설은 더욱 심화하는 모습이다.

앞서 지난해 9월 블룸버그는 반도체 분석·컨설팅 업체 테크인사이트에 의뢰해 화웨이의 메이트60 프로의 부품을 파악한 결과, SK하이닉스의 D램과 낸드플래시가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SK하이닉스는 화웨이가 해외에서 스마트폰 부품을 조달한 예외적인 사례다”고 말했다.

당시 SK하이닉스는 화웨이와 거래한 사실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화웨이 스마트폰에 탑재된 것으로 추정되는 메모리 반도체는 2020년 하반기부터 양산된 제품”이라며 “화웨이와는 2020년 9월부터 거래를 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화웨이가 미국의 대중 제재 이전에 축적한 반도체 재고를 활용했거나 유통망을 통해 우회적으로 부품을 구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봤다.

블룸버그 역시 “화웨이가 SK하이닉스로부터 메모리 반도체를 어떻게 조달받게 됐는지는 불분명하다”며 “미국의 전면적인 수출 통제 조치가 내려지기 전인 2020년까지 비축한 부품을 활용한 것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같은 사례를 고려할 때 K-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가 다시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가 우회 경로를 통해 화웨이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SK하이닉스 이천공장. <사진=SK하이닉스>

일각에선 삼성·SK가 미 정부로부터 무기한 유예 받았던 대중 수출 제한 조치가 다시 재개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화웨이에 K-반도체의 제품이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이상 메모리 반도체가 중국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효과적 제재 수단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당장,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사업에 다시 비상이 걸렸다. 현재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낸드플래시공장을, 쑤저우에서 반도체 후공정(패키지)공장을 각각 운영 중이다. SK하이닉스도 중국 우시에서 D램 메모리 반도체 생산 시설을 가동 중이고, 다롄에 있는 인텔의 낸드공장을 인수해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반도체 사업을 당장 접을 수 없는 상황이다”면서 “미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 조치 유예가 언제든 취소될 수 있는 만큼 아예 적용받지 않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시급한 시점이다”고 전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