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정 “미 반도체 르네상스 위해선 반도체 전문 인력 확보 절실”

WSJ, 곽노정 SK하이닉스 CEO 인용해 인력 중요성 강조
“미국서 성공하려면 아주 좋은 엔지니어 수백명 필요”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사진=SK하이닉스>

미국이 ‘반도체 지원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른 대규모 보조금을 앞세워 자국 반도체 역량 제고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미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 나갈 숙련된 전문 인력 확보가 더 중요하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지시간으로 11일 “미국 반도체의 르네상스를 위해선 인력이 필요하다”며 최근 미 인디애나주에 39억달러(약 5조3703억원)를 투자해 차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 생산 기지를 짓기로 한 SK하이닉스 경영진의 의견을 소개했다.

WSJ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20년까지 30년 간 세계 반도체 제조 부문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7%에서 12%로, 25%p나 감소했다. 그러나 2020년 한국과 대만, 중국의 비중 합산은 58%로 크게 늘었다.

미국의 반도체 제조 부문 고용 인원도 2000년 28만7000명에서 2017년 18만1000명으로 10만명 넘게 줄어들었다. 이후 소폭 회복된 고용 인원은 약 20만명선을 유지 중이다.

이에 미 정부는 반도체 지원법을 통해 미 반도체 산업 부흥에 나섰다. 그 결과 인텔, 글로벌파운드리스 등 미국 기업을 비롯해 대만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대(對)미국 투자를 늘리고 있다.

그러나 보조금만으로는 해당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게 WSJ의 설명이다. 생산 설비를 운영하기 위해선 고객과 공급망, 그리고 무엇보다도 숙련되고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WSJ는 곽노정 SK하이닉스 CEO(최고경영자)를 인용해 “첨단 패키징 공장을 운영하려면 물리와 화학, 재료공학, 전자공학 분야 엔지니어 수백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 CEO는 “계약학과를 통해 인력을 수혈하는 한국보다 미국에서의 인력 채용이 훨씬 어렵다”며 “미국에서 성공하려면 아주 좋은 엔지니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현지 전문 인력 확보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이다. 미 인디애나주에 있는 퍼듀대와 협력해 인력을 지원받기로 했기 때문이다. 퍼듀대는 수년 전 SK하이닉스로부터 연락을 받았을 무렵 반도체 분야에 특화한 대학원과 학부, 자격증 프로그램 등을 시작했다.

한편 WSJ은 “현재로선 전망이 밝아 보이지만 미국은 가까운 미래에 반도체를 생산하기에 비용이 많이 드는 곳이 될 것이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곽 CEO도 특히 건설과 자재 등에서 비용 부담이 늘 것으로 내다 봤다.

멍 치앙 퍼듀대 총장은 “패키징은 통상 노동 집약적인 만큼 인건비가 관건이 될 수 있다”며 “혁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