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회에 바란다⑨] 항공업계, 코로나19 넘어도 문제…기초체력 키울 장기지원책 마련해야

"망가진 회사 상태 복구하려면 상당한 시간 소요될 것"


한때 ‘꿈의 직장’으로 불렸던 국내 항공사들이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산업 중 가장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지난 2월부터 항공업계는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하기 시작했고 임직원 급여 반납, 유무급 휴직 등 다양한 자구책을 통해 버티기 전략을 펴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항공운송시장 동향 최신 자료에 따르면 사스 때보다 코로나19는 더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지난 1~2월 여객량만 국내선과 국제선 모두 전년 대비 약 60% 하락해 사스 때보다 크게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또 사스 때처럼 7개월 후 수요가 회복되면 아태 지역 항공사들의 수송실적(RPK)은 2019년 대비 8.2%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비명소리에도 지원책 마련은 석달째 ‘답보상태’

국내 항공사들이 간신히 버티고 있는 상황에서도 정부는 소극적인 지원책으로 골든타임을 허비하고 있다. 지난 2월 저비용항공사(LCC)에 최대 3000억 원 규모의 금융 지원책을 내놨지만 LCC 수와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하면 간신히 몇 달 버틸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물론 국회 등이 직접 나서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한 점도 문제다. 코로나19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 대부분의 운항이 중단되고 자구책 마련으로 버티고 있는 상황인 것은 마찬가지인데 대형 항공사라는 이유로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대한항공의 경우 이달 안에 보유 현금이 바닥날 것으로 알려졌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현금성자산은 지난해 말 이미 반 토막 난 상태였다. 대한항공은 2018년 말 1조5040억 원에서 2019년 말 8163억 원으로 45.7% 줄었고 아시아나항공은 4143억 원에서 1942억 원으로 53.1% 감소했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는 델타 등 항공사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 실직적인 도움이 이미 이뤄졌지만 한국은 지원책을 아직 논의 중이고 국내 항공사는 기다리고만 있는 상황”이라며 “지원 시기도 중요한데 너무 늦어지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이 위치한 인천 중구와 서울 강서구가 항공기 재산세율을 0.3%에서 0.25%로 낮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지만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지원책으로 보긴 힘들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항공기 취득세와 재산세 감면 혜택이 2019년부터 사라지면서 부담이 커졌기 때문에 이번에 한시적 인하가 적용돼도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항공기 등록 시 취득세율과 재산세율은 대형 항공사의 경우 2.02%, 0.3%인 반면 저가항공사는 0.8%, 0.15%를 적용받는다. LCC는 취득세 60%, 재산세 50% 감면 혜택을 받고 있지만 2019년부터 자산규모 5조 원 이상인 대형항공사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포스트 코로나’ 대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책 마련해야

최근 몇 년간 항공사들의 체력은 떨어질 만큼 떨어진 상태였고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바닥날 전망이다. 외형은 성장했지만 항공사 수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로 수익성은 줄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500대 기업 중 운송업의 지난해 매출은 2017년 대비 11.9%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6.1%나 줄었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영업이익률 역시 2017년 4.7%에서 2019년 1.9%로 2.9%포인트 떨어졌다.

500대 기업에 포함된 항공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등 4곳만 떼어내서 봐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이들 항공사의 매출은 2017년 20조2040억 원에서 2018년 22조4737억 원으로 11.2% 성장했지만 미‧중 무역갈등과 일본 불매운동 여파로 지난해는 2.4% 감소한 21조9433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감소해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다. 2017년 1조4139억 원에서 2018년 8327억 원으로 41.1%나 줄었고 2019년에는 대한항공만 유일하게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영업이익 합계는 -2680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당장 급한 불을 끄는 지원책도 필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산업 전체를 부양할 지원 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눈앞의 위기를 넘기는 데만 집중하면 항공업계 위기는 반복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미‧중 무역갈등과 일본 불매운동 여파 등의 악재로 대한항공을 제외한 모든 국내 항공사가 영업손실을 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항공 수요가 회복돼도 회사 상태가 망가져 있는데 단기적인 자금 지원으로 해결이 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세금 인하나 감면 등도 도움이 되지만 이보단 직접적인 유동성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유진 기자 / yujin@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더보기